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라이즈]]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tablebordercolor=#000><bgcolor=#7285c0> {{{#!wiki style="margin: -2px -10px"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yze_portrait.png|width=120]]]]}}} || ||<bgcolor=#7285c0>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000 77전 49승 28패[br]승률 63.6%, KDA 4.1}}}]]''' || 라이엇 주관 국제 대회로 한정하면 20전 16승 4패 80%의 말도 안 되는 승률을 자랑하고 있다.[* 심지어 2019 월즈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와의 4강전 3세트 첫 패배 이전까지는 '''해외 팀을 상대로는 패배한 적이 없었다.''' 이 패배 이전의 유일한 1패마저 2017 월즈 결승에서 삼성 갤럭시에게 당한 것이며, 그 경기가 바로 [[강찬용|앰비션]]의 전설의 1깃 2창 대역전 경기인 것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필승 카드였던 것이다. 해외 팀 승률 100%가 깨지기 전에는 나무위키에서 페이커가 라이즈를 고르면 볼드체로 '그리고 페이커는 라이즈를 픽한다.'부터 적어놨을 정도로 페이커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챔피언이다. SKT의 전성기 당시 페이커의 라이즈는 국제전에서 불패의 상징이었다.] 페이커는 프로 데뷔 이전인 고전파 시절부터 유명했던 챔피언이자 '국대 라이즈'로 불렸던 [[김남훈(프로게이머)|훈]]을 존경한다고 여러 번 밝힌 바 있었고, 라이즈 플레이와 공략들을 보면서 프로게이머의 꿈을 키웠던 큰 애착을 가지는 챔피언으로 유명하며 라이즈가 매번 리메이크 패치를 여러 번 받으면서 플레이 스타일이 자주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리메이크 이전, 이후 2번의 패치에도 꾸준히 사용한 챔피언이다. 최초 리메이크 전에는 강력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스노우볼을 굴리는 스타일이었고, 최초 리메이크 후에는 후반 왕귀형 브루저 스타일로, 두 번째 리메이크 후에는 사이드 푸시에 힘을 싣는 운영챔으로 스타일이 바뀌었다.] 때에 따라 독보적인 숙련도와 경기력을 보여주는 챔피언 중 하나다. 거기에 2018 월즈의 공식 주제가인 '[[RISE(리그 오브 레전드)|RISE]]'의 뮤직비디오에서는 페이커가 라이즈로 등장하는 만큼 페이커를 상징하는 많은 챔피언 중에도 단연 최고라고 이야기할 만하다. 2019년 인터뷰에서도 좋아하는 챔피언으로 라이즈와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제드]]를 뽑았으며, 페이커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2015 월즈]] 우승을 확정지은 결승전 4세트 당시 챔피언이자 [[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1.11|2015 월즈 우승 헌정 스킨]]으로 출시되었다[* 이때 라이즈는 분노한 페이커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보여줬다. 극초반부터 미드 갱을 온 호진의 렉사이를 점멸 하나 안 쓰고 그냥 때려잡더니 사이드에서 날래기로 소문난 챔피언들인 룰루와 카사딘을 풀피에서 일방적으로 때려 죽였다. 나중에는 페이커의 라이즈가 혼자 궁을 키고 뛰어오자 타이거즈의 팀원 5명이 혼비백산해 달아나는 명장면까지 나왔다.]. 2022 월즈 4강 징동전에서도 조커 픽으로 등장해 엄청난 뇌지컬 운영을 선보이며 팀의 결승 진출에 큰 공헌을 했다.[* 궁극기를 이용해 바론을 먹거나 먹은 뒤 포위망을 빠져나갔고, 4:5 상황에서 본진에 순간이동을 타 백도어를 시도한 뒤 상대 인원이 분리되자 궁극기로 본대에 합류하는 변수 창출과 운영의 극한을 보여주었다.] 하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된 25년도부터는 메인 픽으로 다시 나오기 시작했고, MSI CFO전에서는 아쉬운 폼을 선보였으나, BLG 전에서는 3세트에서 픽해 궁극기를 활용한 바론 트라이로 BLG를 끌어들여 한타를 열어버리는 플레이를 두번이나 선보여 승리했다. 페이커의 '''LoL e스포츠 국제전 200번째 승리'''를 함께한 챔피언이라는 영광은 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